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 우울증정신과상담
- 무료꿈해몽
- 나무꿈
- 윗니가빠지는꿈
- 임신테스트기사용시기
- 질염증상
- 코로나바이러스
- 2020년 토정비결
- 꿈해몽
- 꿈해몽풀이
- 이빨빠지는꿈해몽
- 무료꿈해몽풀이
- 갱년기에 좋은 음식
- 고양이종류
- 해몽
- 새꿈해몽
- 다이어트
- 독감예방접종
- 수영하는꿈
- 독감증상
- 간헐적 단식
- 무료 꿈해몽
- 헤엄치는꿈
- 닭꿈
- 꿈
- 착상혈
- 아보카도
- 꿈 해몽
- 장미꽃 보관법
- 고양이 품종
- Today
- Total
바다버섯
스트레스를 받는게 아니라 다스리는 것입니다. 본문
사람과의 대화나 상담을 통해서 자주 듣는 여러 가지 중에서 가장 많이 듣게 되는 문장은 바로 스트레스가 풀리지 않는다 또는 마음이 너무 여려요인데요. 결론부터 말씀드리자면 스트레스는 절대로 안 풀립니다. 괜히 스트레스를 푸려고 하면 힘이 빠지는 법입니다. 그 이유는 스트레스는 내가 스스로 결정할 수 없다 라는 지각 때문에 생기는 고통이기 때문입니다. 풀리지가 않아서 받게 되는 고통이 스트레스인데 풀려고 하니 더 스트레스를 받게 되는 것입니다.

이런 걸 통제 소재가 나에게 없다고 합니다. 사회생활하다 보면 화가 나고 짜증 날 때 도망칠 수 있을 것이라고 생각하는 사람은 몇이나 될까요. 아마 극 소수들만 그럴 겁니다. 그럼 대부분 도망가지 못한 그 이유들은 월세도 내야 하고 카드값도 내야 하고 불안하기 때문에 벗어날 수 없는 것입니다. 이러한 문제로 사람들은 스트레스를 받게 되는 것입니다.

그래서 제가 전해드리고자 하는 말이 있습니다. 그건 정상의 기준을 바꿔라 인데요. 스트레스를 받아도 아무렇지도 않으면 오히려 그게 더 비정상일 겁니다. 그냥 스트레스받는 것이 정상이다 라고 생각해보세요. 보통 스트레스를 다스리지 못한 사람들의 예를 보았을 때 내가 내성적이라서 스트레스 더 받는 것 같아요. 또는 내가 뭔가 문제가 있는 것 같아요 하면서 이렇게 마음으로 계속 파고들게 되면 더 스트레스를 받게 됩니다. 이런 걸 자기 초점 주의의 함정에 빠졌다 라고 합니다. 내향적인 것 아무 문제없습니다. 인간의 정상적인 속성인데도 자꾸 들여다보고 파고들면 마치 그게 비정상인 것처럼 느끼게 되는 것입니다. 젊은 직장인들 취준생 들은 보통 면접이나 상담을 하기 전에 이런 얘기들을 하는데요. 저는 자존감이 너무 낮아요 어떻게 하면 좋을까요. 그래서 저는 이렇게 말씀드리고 싶습니다.

그냥 뭔가라도 해보고나 일을 해보거나 뭔가에 헌신을 해보면 됩니다. 그래야 생기는 게 자존감이고 즉 경험 있어야 여유가 생기게 됩니다. 밤마다 자기 계발서 읽고 책을 읽는다고 해서 절때 자존감이 올라가는 것이 아닙니다. 자존감이란 끊임없이 무언가를 반복하고 헌신하고 몸을 낮게 내 몸을 써가면서 오감을 열어놔야 쌓이는 것이 바로 자존감입니다. 몸을 써서 헌신해야 합니다. 그래서 스트레스는 대표적으로 두 가지의 의미로 나뉘게 되는데요. 스트레스는 우리 뇌가 우리의 미래의 의미를 보내는 즉 한 번 더 생각하게 만드는 메시지입니다. 스트레스받는다고 짜증 나 이게 뭐야 화낼 것이 아닌 지금지금 나는 제대로 된 길을 가고 있는가라고 뇌가 나에게 질문하는 것입니다. 그리고 저희는 그 질문에 대답을 해야 하는 것입니다. 두 번째로 스트레스의 의미는 내가 무엇을 하고 있는가 내가 앞으로 어떻게 살아가야 할 것인가에 대한 이야기를 만들어내라는 메시지입니다. 사람들은 주변 환경에 따라 힘든 일 스트레스받는 일이 너무 많은데요. 하지만 주변 환경이 변해도 나 자신의 본질 또는 일하는 데 있어 본질은 웬만해서는 변하지는 않지만 환경에 의해서 스트레스를 많이 받곤 합니다. 하지만 내가 큰 데서 일하든 작은 데서 일하든 어디서 일하든 간에 일하는 곳에서는 작든 크든 별로 중요하지 않습니다. 오히려 나는 무엇을 추구할 것인가에 대하여 생각해야 합니다.

그렇다고 내가 하고자 하는 일의 본질은 무엇인지 또는 무엇을 추구하고 싶은지 내 나름대로 이야기는 무엇인지 직장인 회사원 내가 무엇을 하고 있는 거지 너무 힘들어 칼퇴근도 못해 휴가는 어떻게 해야 되지 이런 현실적인 스트레스에만 얽매일 것이 아닌 내가 여기서 벗어날 수 있는지 못 벗어나는지 이 안에서 스트레스의 의미를 재정의 한다면 분명히 스트레스를 덜 받고 힘이 날것입니다. 그래서 여러분도 오늘 방에 앉아서 내가 하고자 하는 일에 대한 내 나름대로 비밀스럽고 은밀스러운 나만의 이야기를 한번 만들어 보시는 게 좋을 것 같습니다.
'* 생활 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미래에 걱정이 많으신 모든 분들께 너의 꿈에는 한계가 없다를 꼭 읽어보세요. (0) | 2019.07.28 |
---|---|
사업을 시작하시기 전에 여러분은 소비자의 감정을 생각하고 움직여 본 적 있으신가요. (0) | 2019.07.27 |
글을 잘 쓰기 위해 노력해야할것은 (0) | 2019.07.27 |
글을 잘쓰기 위한 3가지 습관 (0) | 2019.07.27 |
3가지 교훈을 얻게 된 첫 스타트업 (0) | 2019.07.27 |